먼저 글 "가상화폐 거래방법 초보자 가이드" 간략하게 소개된 거래방법을 이 글에서는 조금 더 이해하고 접근하기 쉽게 과정을 설명했으니 천천히 따라하시다 보면 가상화폐 거래가 어렵게 느껴지지 않을 것입니다.
1. 중앙화 거래소(CEX)로 거래하기 (업비트/빗썸/코빗 등 공통)
A. 시작 전 준비물
본인 명의 휴대폰과 이메일
본인 명의 은행계좌(실명확인 가능)
주민등록증/운전면허증(본인인증용)
소액 시드(처음은 5만~10만 원 등 작은 금액 권장)
2단계 보안앱(OTP/범용 인증 앱)
B. 계정 생성 & 보안 세팅
거래소 앱 설치 → 회원가입(이메일/휴대폰 인증).
신분증 촬영 + 본인 얼굴 인식으로 KYC 완료.
보안 탭에서 즉시 설정:
2단계 인증(OTP/FIDO)
출금주소 화이트리스트(인출 가능한 지갑 주소만 등록)
비밀번호/핀코드 설정, 피싱방지 문구 설정
로그인 기기 관리(낯선 기기 즉시 로그아웃)
C. 은행계좌 연동 & 원화 입금
“입출금” 메뉴 → 원화(KRW) 입금 선택.
실명 계좌 연결(거래소가 안내하는 절차에 따라 본인 계좌 인증).
계좌에서 거래소로 송금(빠른입금/일반입금 중 선택).
초보자는 소액만 테스트 송금 → 입금 반영 확인 후 본입금.
D. 코인 매수(실전 버튼 순서)
하단 거래 탭 → 원하는 코인 선택(예: BTC/KRW).
주문유형 고르기
시장가: 즉시 체결(가격보다 실행 우선).
지정가: 원하는 가격을 직접 입력 후 대기 체결.
금액/수량 입력 → 매수 버튼.
체결내역 확인: “주문내역/체결내역”에서 확인.
초보자용 분할 매수 예시
오늘 시가 근처 시장가 40%
주요 지지선(차트의 직전 저점 등) 지정가 40%
더 낮은 가격(추가 여유 구간) 지정가 20%
E. 코인 매도(이익실현 & 손절)
보유 종목 화면 → 매도.
유형 선택
시장가: 즉시 전량/일부 청산에 유용.
지정가: 목표가에 자동 체결로 이익실현 계획적 수행.
실전 템플릿(예시)
진입가 대비 +5%에 30%, +10%에 30%, 나머지 트레일링(일부 거래소만 지원) 또는 수동 관리
손실 제한: 진입가 대비 -5%에서 일부 또는 전량 정리(시장가)
팁: 일부 국내 거래소는 OCO(이익/손절 동시 등록), 트레일링 스탑 미지원일 수 있어요. 그 경우 분할 지정가 + 수동 알림(앱 알림/가격알림)을 병행하세요.
F. 입출금(코인 전송/원화 출금)
코인 출금(지갑으로 보내기)
“입출금” → 해당 코인 → 출금 → 네트워크 선택 → 받는 지갑 주소 붙여넣기(앞/뒤 4자리 대조).
소액 테스트 출금 → 정상 도착 확인 후 본액 출금.
주소 태그(Memo/Tag)가 필요한 코인(XRP 등)은 반드시 태그 입력.
원화 출금(은행으로 받기)
“입출금” → KRW 출금 → 본인 계좌 선택 → 금액 입력 → 2차 인증 → 요청.
G. 안전 체크리스트(반드시!)
원격제어 앱/링크 설치 금지, 고객센터 사칭 DM 차단.
출금 전 항상 수취 주소·네트워크·메모 3가지 대조.
큰 금액은 하드웨어 월렛 보관(장기 보유 시).
거래소 공지/점검 시간 확인 후 거래(체결/출금 지연 방지).
과도한 레버리지/선물은 초보자 금지.
2. 탈중앙 거래소(DEX)로 거래하기 (메타마스크 + 유니스왑 등)
DEX는 지갑이 곧 계정입니다. 스스로 키를 보관하므로 보안·실수 책임도 100% 본인에게 있어요. 초보자는 CEX에서 기초 익힌 후 소액으로 시작하세요.
A. 지갑 만들기(메타마스크 예시)
공식 사이트/스토어에서 Metamask 설치(브라우저 확장/모바일 앱).
새 지갑 생성 → 시드 문구 12/24단어 종이에 적어 오프라인 보관(사진/클라우드 저장 금지).
지갑 비밀번호 설정 → 앱 잠금 자동화.
B. 네트워크 & 가스비 이해
기본은 이더리움 메인넷(ETH 가스), 수수료가 부담되면 레이어2(Arbitrum/Optimism/Base 등, 가스는 ETH) 사용.
거래하려면 해당 네트워크의 가스 토큰(예: ETH)이 소량 필요.
C. CEX → 지갑으로 코인 전송
CEX에서 출금 메뉴 → 네트워크를 지갑 네트워크와 동일하게 선택.
메타마스크 수령 주소(0x로 시작) 복사 → 출금창에 붙여넣기.
소액 테스트 출금 후 본액 전송.
D. DEX에서 스왑(유니스왑 예시)
브라우저에서 app.uniswap.org 접속 → 지갑 연결(Connect Wallet).
From(보유 토큰) / To(교환할 토큰) 선택.
처음 거래하는 토큰은 토큰 승인(Approve) 필요.
수량 입력 → 슬리피지(가격허용 오차) 확인 → Swap 실행.
메타마스크 팝업에서 가스비 확인 → 확인(Confirm).
탐색기(Etherscan 등)에서 거래 완료(Confirmed) 확인.
E. 위험 낮추는 방법
토큰 계약주소를 공식 채널에서 복사(이름만 검색하면 가짜 토큰 위험).
슬리피지 과도 설정 금지(가격 미끄러짐 주의).
에어드랍 사칭 토큰/스팸 NFT 무시(터치 금지).
허가(Allowance) 관리: 불필요한 dApp 승인은 Revoke 도구로 철회.
큰 금액은 콜드월렛으로 이체해 별도 보관.
3. 처음 1주일 실행 플랜(바로 따라하기)
Day 1 — 계정·지갑 세팅
CEX 가입, KYC, 2단계 인증, 입금 테스트 1만 원.
메타마스크 설치, 시드 문구 오프라인 보관.
Day 2 — 소액 체험 매수
CEX에서 BTC/KRW 시장가 30%, **지정가 70%**로 분할 매수.
가격 알림 설정(목표가/손절가).
Day 3 — 매도 연습
보유분 일부 지정가 매도 등록(+5% 구간).
나머지 시장가 소액 매도로 체결 감각 익히기.
Day 4 — 출금/입금 복습
코인 소액 출금 → 지갑 수령 확인 → 되돌려 입금(왕복 연습).
Day 5 — DEX 소액 스왑
L2 네트워크로 소액 전송 후 유니스왑에서 스왑 1건 실행.
승인/가스/슬리피지 차이 체감.
Day 6 — 기록·정산
매매 일지: 진입/청산 이유, 체결가, 수수료, 감정 기록.
실수/성공 포인트 체크.
Day 7 — 규칙 확정
손실 제한 규칙(예: 일손실 -2% 중단), 포지션 최대 개수, 분할 원칙 문서화.
보안 점검(화이트리스트, 기기 관리, 비상 복구 절차).
4. 주문·위험관리 템플릿 (복붙해서 쓰세요)
포지션 개시 템플릿
진입 사유: (추세/지지선/뉴스)
분할 매수: 시장가 30% / 지정가1 40% / 지정가2 30%
손절: 진입 평균가 -5% 전량 정리(시장가)
이익실현: +5% 30%, +10% 30%, 나머지 추세 유지
일일 체크리스트
공지/점검 일정 확인 → 입출금 가능 여부 체크
차트: 전일 고저/거래량/뉴스
오더북: 유동성/스프레드
보안: 의심 링크/앱 금지, 새 기기 로그인 알림 확인
5. 세금·규제·수수료 간단 가이드
세법/규제는 수시 변경됩니다. 신고 기준·세율·과세시점은 국세청/금융당국 최신 공지를 꼭 확인하세요.
수수료는 거래소·등급·네트워크에 따라 다릅니다(거래 수수료, 입출금 수수료, 네트워크 가스비). 체결 전 미리 확인하고 비용을 매매 일지에 반영하세요.
해외 거래소·파생상품은 법령/약관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 우회 접속·과도한 레버리지는 법적·금융 리스크가 큽니다.
마무리 한 줄
처음엔 소액 + 분할 + 기록 + 보안만 기억하세요. 이 네 가지가 꾸준한 생존과 실력 향상의 핵심입니다.
'금융, 보험, 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내일저축계좌 완벽 가이드 (2025 최신 기준) (7) | 2025.08.23 |
---|---|
일반월세자금보증제도 완벽 가이드 (2025 최신 기준) (1) | 2025.08.23 |
국민연금 감액제도 개편, 무엇이 어떻게 달라질까? (0) | 2025.08.22 |
가상화폐 거래방법(초보자 가이드) (0) | 2025.08.22 |
2025년 가상화폐 전망과 투자 전략 (0) | 2025.08.21 |